白云洞
白云洞是崂山著名的道家殿堂,海拔400余米,背依石壁,面临深涧,自然奇特,是崂山名洞之一。
白云洞始建于唐天宝二年(743年)。据史料记载,开元末(741年),唐朝道士姜抚求药崂山,选择了这处依山傍海的山洞修炼。宋代,江南道教内丹派第五祖白玉蟾来到崂山,对白云洞进行了增修,白云洞才形成了一座修道殿堂。白玉蟾,又名葛长庚,字如晦,祖上为福州人,曾在海南为官,因仗义行侠杀了人,后来进武夷山入道修炼,南宋嘉定年间(1208—1224)被敕封为 “紫清真人”,一生游览了包括崂山在内的名山大川无数,传世之作有《白玉蟾全集》。
白云洞创建后,因为道路艰难,物资运输极不方便,主持白云洞的道士也时断时续。直到明末清初,在崂山道士田白云的主持下,此洞才真正建成为道教观院。
白云洞是由三块巨石迭架而成的洞,周围由石条砌筑,洞口朝南。洞内呈四方形,宽约七米,进深约七米,高约二米,洞顶平整,地面由石条铺就,可以同时站立数十人,主殿原来供奉玉皇大帝。洞额“白云洞”3个字为清末翰林尹琳基题写。
围拢白云洞的三块巨石,左边一块称“青龙石”,右边一块称“白虎石”,前面一块称“朱雀石”。另外,后面还有块“玄武石”。
清乾隆年间(1736—1795年),白云洞在道士赵体顺的主持下进行了一次重修,建起了以青龙阁为主体的殿房24间,面积400多平方米。其中规模最大的是青龙阁,分上下两层,长约12米,共有6个门楼,主殿正前台阶11级,门前台阶33级。
明末清初至民国期间,白云洞一直是道教全真金山派的殿堂。清朝乾隆三十四年(1769年)春,自幼在太清宫出家修道的即墨道士王生本带领弟子在白云洞另搭一陋屋居住修炼。他生食五谷,从不去糠皮,虽已103岁高龄,但须发黑若浓墨。公元1770年农历正月初九,他忽然对弟子们说,“今日立春,吾将逝矣。”说完端坐而终。他的遗骨葬在白云洞东南方二仙山中间的逍遥谷,藏骨塔至今还在。
抗日战争时期,白云洞多次遭到日军“扫荡”。日军杀死了道长邹全阳和道士五人,烧毁了白云洞建筑。从那以后,白云洞便中断了道事活动。
东院墙下的这株白玉兰,树龄在200年以上,是崂山树龄最长的一株白玉兰。青龙石下面这个洞穴称“卧风窟”,因这里地形条件比较特殊,山风吹到这里回旋不止,所以取名“卧风窟”。据说曾是坤道(女道士)修炼的地方。旁边洞穴称“菩萨洞”。在白云洞南侧还有两个洞,一个是清虚洞,一个是普照洞。清虚洞为一人工开凿的石洞,是供道士修炼用的。人坐在洞里,可以俯瞰下面的山海景色。
游览白云洞附近景区,慢慢体味“藏园老人”傅浣叔的题诗:“夜月清皎,海气光寒,玩石抚松,飘然登仙”,感悟“登仙”的意境。
White Cloud Cave
White Cloud Cave is a famous Taoist spot in Laoshan, over 400 meters high. This natural and unique cave faces a deep valley and is backed by a cliff, and is one of the famous caves of Laoshan.
White Cloud Cave was built in the 2nd year of emperor Xunzong of the Tang dynasty (743).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Jiang Fu, a Taoist, came to Laoshan in 741 in order to seek medicine. He chose this Cave that was near the mountain and by the sea for practicing Taoism. In the Song dynasty, Bai Yuchan, the fifth patriarch of the Neidan Sect of Taoism south of the Yangtze River, came to Laoshan and reconstructed the White Cloud Cave so that it become a Taoist place for cultivation. Bai Yuchan, also known as Ge Changgeng, had an official position in Hainan, and then fled to Wuyi Mountain after he killed a person out of righteous anger. During the reign of emperor Ningzo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the thirteenth century, he was awarded the title "Patriarch Ziqing". In his life, he toured countless famous mountains and great rivers including Laoshan, and wrote the famous "Collected Works of Bai Yuchan".
After completion of White Cloud Cave, owning to poor road conditions and difficulty transportating materials, no abbot of the Cave stayed long. It was not until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when Taoist Tian Baiyun took charge of the Cave, that it became an established Taoist location.
White Cloud Cave is composed of three stacked rocks, with surrounding masonry structures. Its entrance faces south. The inside of the Cave forms a square, about 7 meters wide, 7 meters deep and 2 meters high, with a flat roof and stone paved floor. It can accommodate dozens of visitors at a time. The Jade Emperor was previously enshrined in its main hall. The three characters "Bai Yun Dong" on its forehead were inscribed by Yin Linji, an academician in the Hanlin Academy of the late Qing dynasty.
There are three huge rocks enclosing the White Cloud Cave. That on the left is called "Azure Dragon Rock", the one on the right "White Tiger Rock", and the one in the middle "Rose Finch Rock". In addition, there is a "Rock of the God of the Northern Sky" behind the Cave.
During the reign of Emperor Qianlong of the Qing dynasty (1736-1795), White Cloud Cave was reconstructed under the Taoist Zhao Tishun, and 24 halls covering over 400 square meters were built with Qinglong pavilion as the main body. Qinglong Pavilion is the largest, consisting of two stories approximately 12 meters long. It has a total of six gate towers. The main hall has 11 steps in front and the gate towers have 33 steps in front.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Ming dynasty to the Republic of China, White Cloud Cave has been the Taoist location of the Quanzhen School. In the spring of the 34th year of reign of emperor Qianlong of the Qing dynasty (1769), the Taoist Wang Shengben from Jimo, who practiced Taoism at Taiqing Palace since childhood, with his disciples built another simple and crude shelter in White Cloud Cave. He always ate raw grains and chaff. Even at 103 years of age, his beard and hair was as black as Chinese ink. On 9th January, 1770, he suddenly told his disciples, "Today is the Beginning of Spring, and I will die." After saying this, he died while sitting upright. He was buried at Xiaoyao Valley between the Erxian Mountains (Two Immortals Mountains) to the southeast of White Cloud Cave and the tower in which his bones were stored is still preserved.
During the War of Resistance against Japan, White Cloud Cave suffered many of the Japanese' bombing raids. They killed the Taoist priest Zou Quanyang and four other Taoists and burnt down the buildings of White Cloud Cave. Since then, the Taoist rituals in White Cloud Cave were dicontinued.
This magnolia at the foot of the eastern courtyard wall, over 200 years old, is the oldest magnolia at Laoshan. The cave below the Azure Dragon Rock is called "Bed of the Wind Cave" because the mountain wind gets trapped here due to its special shape. It is said that this is where female Taoists practiced Taoism. The cave next to it is the "Bodhisattva Cave". On the southern side of White Cloud Cave sit two caves, one is "Qingxu Cave", and the other is "Puzhao Cave". The former is an artificial cave that was dug out for Taoists' practice. People can sit in the cave, overlooking the mountains and sea below.
While visiting the scenic spots near "White Cloud Cave", you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appreciate the poems inscribed by the "Old Man of Cangyuan" Fu Huansu and feel the idea of "becoming an immortal".
백운동(白雲洞)
백운동은 노산의 유명한 도교 전당으로 해발 400여 미터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석벽을 등지고 깊은 산골짜기를 향해 진귀한 풍경을 만들어내며 노산의 유명한 동굴 중의 하나로 손꼽힙니다.
백운동은 당나라 천보 2년(서기 743년)에 처음 건축되었습니다. 역사서의 기록에 따르면 개원말년(서기 741년)에 당나라 도인 강무(姜撫)가 약초를 캐러 노산으로 와서 산 속에 물이 흐르는 곳 가까이에 자리 잡고 수행을 시작하였습니다. 송나라 때 강남 도교 내단파 제5조(第五祖)에 속한 백옥선 (白玉蟾)이 노산에 왔을 때 백운동을 증축했고 그 때 이후로 백운동은 도를 닦는 전당이 되었습니다. 백옥선의 자는 여회(如晦)이며, 갈장경(葛長庚)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습니다. 복주(福州) 출신의 조상의 후손으로 해남에서 벼슬을 지냈고, 의협심을 발휘한다는 명목으로 살인을 저지른 후에 무의산 (武夷山)으로 가서 도를 닦기 시작하였습니다. 남송나라 가정연간(서기 1208-1224년)에 ‘자청진인(紫清真人)’으로 봉해지고, 평생 동안 노산을 포함 한 수많은 유명한 산들을 유람 하였으며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는 작품으로는 <백옥천전집(白玉蟾全集)>이 있습니다.
백운동을 창건할 때에 산 길이 험난했기 때문에 물자 운송이 아주 불편해 백운동을 주관한 도인도 공사를 중도에 그만두었습니다. 명나라 말기에서 청나라 초기까지 노산 도인 전백운(田白雲)이 주관함으로써 다시 본격적으로 이 동굴을 도교 사원으로 건축하였습니다.
백운동은 큰 바위 세 개가 겹쳐져 세워진 동굴로 동굴 주변에 돌들이 막대처럼 쌓여 있습니다. 동굴의 입구는 남쪽으로 향합니다. 동굴 안은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너비 약 7미터, 깊이 약 7미터, 높이는 약 2미터 입니다. 동굴의 천장은 고르며 바닥에는 돌들이 깔려 있는데 약 10여명의 사람이 동시에 서 있을 수 있습니다. 본당에서는 본래 옥황상제를 모셨었습니다. 동굴에 새겨진 ‘백운동’ 이라는 글자는 청나라 말기에 한림 윤림기가 쓴 것입니다.
세 개의 큰 바위가 백운동을 둘러싸고 있는데 왼쪽의 바위는 ‘청용석(青龍石)’이라 하고, 오른쪽은 ‘백호석(白虎石)’, 동굴 앞의 것은 ‘주작석(朱雀石)’이라고 합니다. 그 밖에 동굴 뒷 편에 ‘현무석(玄武石)’ 이라는 바위도 하나 있습니다.
청나라 건융연간(서기 1736-1795년)에, ‘백운동’은 도인 ‘조체순(趙體順)’ 의 주관하에 한번 개축되었는데, 400여 제곱미터의 면적에 본관 청용각을 포함한 총 24칸의 전당을 지었습니다. 그중의 규모가 가장 큰 청용각은 2층으로 되어 있고, 약 12미터의 길이로 안에 6개의 문루(다락)가 있습니다. 본당 앞에 11개의 계단이 있고, 문 앞에는 33개의 계단이 있습니다.
명나라 말기부터 민국(民國)시기까지, 백운동은 도교 전진 금산파의 전당이었습니다. 청나라 건융34년(서기 1769년) 봄에 어릴 때부터 태청궁에서 도를 닦은 즉묵 도인 왕생본(王生本)이 제자를 데려와 백운동에서 누옥(陋屋)을 지어살면서 수행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는 껍질을 벗기지 않은 오곡을 생으로 먹었는데, 비록 103 세 고령이었지만 머리카락이 진한 묵처럼 검었습니다. 서기 1770년 음력 단월 9일에 그는 갑자기 제자들에게 오늘이 입춘이니 나도 가겠다고 말한 후에 앉은 상태로 돌아가셨습니다. 그의 유골은 백운동 동남쪽의 두 선산 사이의 소요곡에 묻혔고 그 보탑은 지금도 거기에 있습니다.
항일전쟁 시기에 백운동은 일본 군대의 공격을 몇 번 받았습니다. 일분 군인은 도인 추전양(鄒全陽)과 다른 도인 다섯 명을 죽였고 백운동 건물을 불태워 버렸습니다. 그때부터 백운동의 도교 활동은 중단되었습니다.
동쪽 뜰의 담장 아래에 있는 백옥란 나무의 나이는 200세가 넘는데 노산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나무입니다. 청용석 아래의 이 동굴은 ‘와풍굴’이라고 불립니다. 이곳의 지형 조건이 비교적 특수하여 바람이 동굴 안으로 불어 들어와 멈추지 않고 빙빙 돌기 때문에 ‘와풍굴’이라 이름을 지었습니다.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이곳은 ‘곤도(여자 도인)' 들이 수행 하던 곳이었습니다. 옆의 동굴은 ‘보살동’이라고 불렀고, ‘백운동’ 남쪽에 두 개의 동굴이 더 있는데 하나는 ‘청허동’, 다른 하나는 ‘보조동’이라 불려졌다고 합니다. 청허동은 도인들이 수행을 위해 인위적으로 파 낸 석동굴입니다. 동굴 안에 앉아서 아래에 펼쳐 진 산과 바다의 경치를 구경할 수 있습니다.
‘백운동’ 근처의 경치를 관광하면서, 천천히 ‘장원노인(藏園老人)’ 부환수가 쓴 시를 감상하면 ‘등선(선계에 올라간다)’의 경지에 이를 수 있습니다.
白雲洞(はくうんどう)
白雲洞は嶗山の有名な道家の殿堂(でんどう)で、海抜400余りメートル、裏側が石壁に頼り、深い谷に面し、自然が珍しい、嶗山の有名な洞穴の中の一つです。
白雲洞は唐天宝2年(743年)に作られました。史料の記録によると、開元末(741年)、唐代の道士姜撫が薬を求めるため嶗山に来て、この山を背に海に臨む山の洞穴を選んで修行をしていました。宋代、江南道教の内丹派の第5祖白玉蟾は嶗山に来て、白雲洞の増修した上で、白雲洞は修行殿堂(でんどう)になりました。白玉蟾は、別名が葛長庚、字が如晦、祖先が福州人であり、海南で官吏のポストを担当したことがあり、義俠に富み、自分を犠牲にして人を救うことをしました。それから武夷山に入り、道教に加入して修行しました。南宋嘉定年間(1208~1224)に「紫清真人」の称号を勅命によって与え、一生で嶗山を含める有名な山や川を遊覧したのが無数であり、後世に伝わる作品は<白玉蟾全集>です。
白雲洞が創建した後に、道が苦難に満ちていて、物資の輸送はきわめて不便であり、白雲洞の主宰道士もとぎれとぎれでした。明末、清朝の初期に至り、嶗山道士田白雲より主宰された上で、この洞穴はやっと本当に道教観院に作り上げました。
白雲洞は3つの巨石より積み重ねで作られた洞穴で、周りは帯状の石で積み、洞穴の口が南に向っています。洞穴の内で四角形を呈し、幅が約7m、奥行きが約7m、高さが約2m、洞穴の最上部は平らで、地面は帯状の石で敷き、同時に数十人が立つことができ、主殿はもともと天帝を祭られているところでした。洞穴の額にある「白雲洞」3字は清末の翰林尹琳基が書いたものです。
白雲洞に取り囲んでいる3つの巨石は、左、右、前側の巨石がそれぞれ「青竜石」、「白虎石」、「朱雀石」と呼ばれます。その他に、「玄武石」があります。
清の乾隆年間(1736~1795年)に「白雲洞」が道士「趙体順」の主宰で一回修築を行い、青竜閣を主体とする寺院の部屋を24室建て、面積が400余りm2です。その中に、最も規模が大きいものは青竜閣、上と下の2層に分けられ、長さが約12m、全部で6つの門楼(門の上についた屋根)があり、主殿の真正面の石段が11級あり、門の前の石段が33級あります。
明末、清朝の初期~民国の間に、白雲洞はずっと道教の全真金山派遣の殿堂(でんどう)でした。清の乾隆34年(1769年)の春に、幼いから太清宮で出家して修行する即墨道士王生本が弟子に連れて白雲洞で別に1つの陋屋(ろうおく)(狭くてみすぼらしい家)居住して修行しました。彼は生のまま五穀を食べ、一回でも糠皮を剥がなく、103歳の高齢になったが、ひげと頭髪が濃い墨と同じく黒いです。西暦紀元1770年旧暦の1月9日、彼は、突然に弟子達に「今日は立春で、私が死去しますよ。」と言いました。話し終わって端坐(たんざ)(正座)で死去しました。彼の遺骨は白雲洞の東南方向で二仙山の中間の逍遥谷に埋葬され、骨を隠す塔は今でもあります。
抗日戦争の時期に、白雲洞は何度も日本軍の「掃討」に遭いました。日本軍は道长鄒全陽と道士の5人を殺して、白雲洞の建物を焼却しました。あの後、白雲洞は道教の儀式を中断しました。
庭の東部の壁の下にある白いハクモクレンは、樹齢は200年以上あり、嶗山で樹齢が最も長い1本の白いハクモクレンです。青竜石の下にある洞穴は「臥風洞窟」と呼ばれ、ここの地形の条件が非常に特殊で、山風がここまで吹いたら旋回するままで止まらないので、「臥風洞窟」と名付けられました。聞くところによると、「坤道」(女性の道士)が修行する場所です。そばの洞穴は「菩薩洞」と呼ばれています。「白雲洞」の南側には2つの洞穴があり、ひとつは「清虚洞」、もうひとつは「普照洞」です。清虚洞は1つの人工で切り開いた石の洞孔で、道士の修行に用いられます。人は洞穴の中に座って、高い所から下の山と海の景色を見下ろすことができます。
「白雲洞」の近くの景勝地を遊覧して、ゆっくりと「藏園老人」傅浣叔が書いた詩を味わい、「登仙(仙人になる)」の境地を悟ります。